협업을 위한 Repository 생성부터 브랜치 생성까지
프로젝트 수행을 위해 협업할 repository를 생성한 후 개별저장소인 브랜치를 생성했고 그 과정을 기록하고자 한다.
1. 새로운 레포지토리 생성
private으로 설정 후 Add a README file을 선택하여 새로운 레포지토리를 생성
* 이렇게 저장소 생성 시기에 Add a README file을 체크하면 자동으로 main branch를 생성해주기 때문에 개별 브랜치를 추가로 생성할 때 편리하다.
2. 생성된 레포지토리의 settings에서 협업할 사용자를 추가한다.
3. 해당 저장소를 로컬에 클론하기
1) 저장소 메인 화면의 <>Code 버튼을 클릭한 후 HTTPS 주소를 복사한다.
2) 해당 저장소를 클론할 위치에서 터미널을 열고 git clone [저장 주소]를 입력한다.
4. 개별 브랜치 생성하기
1) git branch [새로운 브랜치명]
1-1) git branch [새로운 브랜치명] [분기해나올 브랜치명]
** 이 때 브랜치명은 나의 이름이 아닌 내가 개발할 기능을 약어로 작성해서 생성하였다.
5. 생성한 브랜치로 이동하기
git checkout [브랜치명]
** 브랜치 이동 시 사용하는 공통적인 명령
4+5. 새로운 브랜치를 생성하고 해당 브랜치로 이동하기
git checkout -b [새로운 브랜치명]
6. 생성한 branch를 origin repository에 push하기
git push --set-upstream origin [생성한 브랜치명]
7. branch 생성 여부 확인하기(git hub에서)
위 이미지와 같이 브랜치의 수가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 명령어.
- 현재 위치한 브랜치 확인하기: git branch 또는 git branch --list
- origin branch 확인하기: git branch -r
- 모든 브랜치 확인하기: git branch -a
- 현재 위치한 브랜치의 마지막 커밋 메세지 확인하기: git branch -v
- 현재 위치한 브랜치명 수정하기: git branch -m ([기존 브랜치명]) [새로운 브랜치명]
- 특정 브랜치 삭제하기: git branch -d [삭제할 브랜치명]
** 현재 위치하고 있는 브랜치는 삭제할 수 없음
** merge하지 않은 커밋을 담고 있는 브랜치는 -d로 삭제 불가 => 강제 삭제하려면 -D 사용 - 특정 브랜치만 클론하기: git clone -b [브랜치명] [저장소 주소]
- 현재 위치한(checkout한) 브랜치를 기준으로 병합된 브랜치인지 여부 확인
현재 위치한 브랜치와 병합된 브랜치 목록 확인하기: git branch --merged
현재 위치한 브랜치와 병합되지 않은 브랜치 목록 확인하기: git branch --no-merged
============================================================================================
참고 사이트.
github 협업 메뉴얼: git-clone부터 Pull request까지
팀원분들과 처음으로 깃허브(github 협업을 하게 되었다. 팀원 1명의 repository를 같이 쓰는 방식이라, 이런 저런 공부가 필요했다. 아래 github 협업 메뉴얼에는 내 작업물을 올리고, repostory에 있는
dewworld27.tistory.com
https://mylko72.gitbooks.io/git/content/branch/checkout.html
브랜치 생성과 삭제, 체크아웃 · Git, 분산버전 관리시스템
mylko72.gitbooks.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