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degreen

모의 면접 컨설팅 리뷰 본문

취업

모의 면접 컨설팅 리뷰

앙갱 2023. 6. 21. 01:10
반응형

첫 개발직군 면접 경험이었는데 전반적인 흐름과 질문 방향을 알 수 있는 기회였다.

 

1. 1분 자기소개

 

지원한 직무에 대해 내가 걸맞는 사람이라는 것을 경험을 기반으로 역량 어필하는 간단한 2-3문장

예시) A 기업의 B 직무에 지원한 ~입니다. B는 C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C한 경험/경력이 있습니다. C를 바탕으로 B를 수행하겠습니다.

 

2. 인성면접

 

질문1. 어떠한 직장인, 회사원, 개발자가 되고 싶은가

-> 구체적인 시간 계획을 두고 답변하는 것은 공격의 대상이 될 여지가 크다. 한 직군으로 가려하든 다양한 길로 가려하든나를 당황하게 하는 질문이 들어올 수 있다.

-> 따라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키워드 두 개를 두고 경험/사례를 기반으로 답변하면 좋다.

 

질문2. 개발자로서 개발 역량 외에 필요한 역량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질문3. 소통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 소통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3. 직무면접

 

질문1. 내가 지금 당장 프로젝트에 투입된다면 쓸 수 있는 언어 그리고 이를 발전시키기 위해 한 노력

질문2. 프로젝트가 끝난 후에 코드 관리는 어떻게 진행하는가? -> 어떤 게 좋은 답변인지 고민해봐야 할 것 같다.

질문3. 지원한 직무와 관련하여 진행한 프로젝트와 그 안에서 담당한 파트를 구체적으로 설명

 

1) 미사여구 다 빼고 기술적인 묘사만 하는 것이 좋다. -> 따라서 내가 사용한 기술을 명확히 입에 붙게 정리하자

2) 내가 이런저런 많은 프로젝트를 수행했다고 어필하는 것보다는 2-3개 중점으로 어려웠던 점과 이를 극복한 방안 고민한 과정등 자세하고 전문성 있게 답변하자(나열식 노노)

3) 주특기 중요하고 특화특기도 분명 있어야 한다. (추가적으로 심화적으로 깊게 파고들어 공부하는 것도 좋게 본다)

4) 포트폴리오 작성 시 프로젝트 추진에 대한 객관적인 서술(참여 인원, 담당 파트, 활용 기술, 소요 기간)과 코드 기반의 내용이 포함되는 것이 적절하다. 포트폴리오 작성 시 프론트, 백, open ai 등 구분해서 작성하자

5) 직무면접은 실무자가 들어오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그들이 온전히 이해한다고 생각하고 기술적인 부분을 어필하자.

6) 임원면접은 정량적이거나 기술적인 부분보다는 회사에 Fit될 수 있는 지원자인지 파악하는 자리이기 때문에 정성적인 부분 어필하자

7) 팀 프로젝트 외에 작게라도 개인적으로 수행한 프로젝트를 가지고 있는 것도 좋다.

8) 면접 준비와 포트폴리오 작성은 거의 같다. 포트폴리오에 자세하게 작성하고 이를 읽으면서 면접의 답변을 정리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9) 모든 답변의 길이(시간)는 답변 별로 유사해야 한다. 또한 프로젝트 여러 개를 답변하는 경우에도 프로젝트별로 분량을 균등하게 두어 답변하는 것이 좋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