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lcap
- microflow
- 자바
- Sort
- 매개변수 탐색
- algorithm
- 백트래킹
- 자료구조
- 스택
- 완전탐색
- dfs
- 재귀
- 반효경교수님
- 집합
- 정렬
- Recursion
- 트리
- 해시맵
- 멘딕스
- Mendix
- git
- SQL
- 프로그래머스
- MySQL
- 이분탐색
- 그래프
- 알고리즘
- Bruteforce
- 가중치없는그래프
- domain model
Archives
- Today
- Total
728x90
목록시간복잡도 (1)
mondegreen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Y4v1D/btsELrXY96v/wkeecc4BR1XARCQVXJZkmK/img.png)
[Part1-Chapter02-Clip01] 시간복잡도란 입력 크기와 알고리즘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데 우리는 주로 Big-O 표기법으로 나타낸다. 문제에서 정의된 입력 데이터 중 가장 최악의 상황을 포함한 시간의 상한선을 말한다. 입력된 값과 연산을 고려했을 때 도출되는 시간복잡도 중 상수는 제외한다. 즉, O(3N+2)일 경우 3과 2는 제외하고 시간 복잡도는 O(N)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는 입력된 값에 비례하는 시간복잡도를 가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우리는 입력 크기에 대해 우리가 작성한 프로그램의 동작시간을 가늠해볼 수 있다. 아래 그래프는 n의 크기에 따른 실행속도 N을 보여주며, 표는 입력값의 범위에 따라 최대 허용되는 시간 복잡도를 대략적으로 유추한 참고 값이다. 코딩테스트에서 시..
알고리즘 풀이 및 리뷰/[패캠] 핵심유형 20개로 한 번에 끝내는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리뷰
2024. 2. 13. 01:03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