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자료구조
- 트리
- Bruteforce
- 해시맵
- 멘딕스
- 재귀
- algorithm
- microflow
- 스택
- 매개변수 탐색
- 그래프
- Sort
- dfs
- 자바
- MySQL
- 가중치없는그래프
- Mendix
- 프로그래머스
- git
- lcap
- 집합
- 알고리즘
- Recursion
- 완전탐색
- SQL
- domain model
- 백트래킹
- 이분탐색
- 정렬
- 반효경교수님
- Today
- Total
목록알고리즘 풀이 및 리뷰/알고리즘 이론 (22)
mondegreen
정렬이란 2개 이상의 자료를 특정 기준에 의해 작은 값부터 큰 값 순서(오름차순) 또는 그 반대의 순서로(내림차순) 재배열 하는 것을 말한다. 제한이 있는 경우 또는 특수한 경우가 아니면 quick sort(Arrays.sort /Collection.sort)를 활용해 정렬하자. -> 괜히 복잡도 늘리지 않기 정렬에서의 키: 자료를 정렬하는 기준이 되는 특정 값 정렬의 종류 1. 버블 정렬 -> 버블정렬 시간 복잡도 O(n^2) 2. 선택 정렬 -> 선택정렬 시간 복잡도 O(n^2) 3. 삽입 정렬 -> 삽입정렬 시간 복잡도 O(n^2) 4. 카운팅 정렬 -> 카운팅 정렬 시간 복잡도 O(n+k) 5. 병합 정렬 -> 병합 정렬 시간 복잡도 O(nlogn) 6. 퀵 정렬 -> 퀵 정렬 시간 복잡도 O(n..
알고리즘은 유한한 단계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절차나 방법으로서 컴퓨터 용어로 쓰여 컴퓨터가 어떠한 일을 수행하기 위한 단계적 방법을 말한다. 컴퓨터 분야에서 알고리즘을 표현하는 방식은 순서도와 의사코드 두 가지가 있는데 전자는 유연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의사코드(흉내만 내는 코드로서 정해진 규칙은 없지만 이해 가능하게 작성하고 독해능력 필요)를 많이 사용한다. 좋은 알고리즘의 기준 1. 얼마나 정확하게 동작하는가(정확성) 2. 최소의 연산으로 원하는 결과는 얻는가(작업량) 3. 얼마나 적은 메모리를 사용하는가(메모리 사용량) 4. 얼마나 단순한가(단순성) 5. 최적화되어 있는가(최적성) 알고리즘의 작업량은 시간 복잡도(Time Complexity) 로 성능을 판단할 수 있는데 빅 - 오 표기법을 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