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이분탐색
- 백트래킹
- git
- 프로그래머스
- microflow
- 가중치없는그래프
- Recursion
- Bruteforce
- 정렬
- Mendix
- algorithm
- lcap
- 매개변수 탐색
- 트리
- SQL
- MySQL
- 반효경교수님
- 자료구조
- 알고리즘
- dfs
- 자바
- 그래프
- 해시맵
- 스택
- 집합
- domain model
- Sort
- 재귀
- 완전탐색
- 멘딕스
- Today
- Total
목록Version Control (2)
mondegreen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ICEc/btsLKJdQVKO/4KtxzgeqOboNDoUWCabpjk/img.png)
멘딕스 스튜디오 프로에서는 소스의 변경사항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내가 개발을 진행하며 확인하는 부분은 주로 아래 두 곳이다.1. 아래 사진 첫번째 탭 제목인 changes 이다. - pull을 받거나 merge changes here을 통해 상위 브랜치의 소스를 머지받았을 때 그리고 내가 작업을 해서 변경사항이 발생했을 때 page, microflow, nanoflow, contants 등 각 파일 기준으로 변경된 카운트를 확인할 수 있다.2. 두번째로는 오른쪽 하단의 아래화살표 옆 숫자이다.- 동일한 브랜치를 여러명이 쓰고 있을 때, 또는 상위 브랜치일 때 최신화하는 경우이다.그런데 과연 이 두 가지 항목에서 변경된 사항이 없을 때, 정말 변경사항이 없는 걸까그렇지 않다.왼쪽 상단의 주 메뉴 중 ve..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pvqoM/btsIGxBuXby/Zxn23THnCWdl4buSck0D70/img.png)
[2024.07.21] 아래 내용은 내가 테스트해본 결과 알게 된 것이고 실제 개발환경에서 혹시 다른 이슈를 경험하게 된다면 글을 업데이트 하고자 한다.Mendix로 개발하는 신입 개발자로서, 본격적으로 협업을 하게 되었고 멘붕을 겪게 된 것은 바로 버전 컨트롤이었다. 인텔리제이와 같은 IDE를 활용하면 터미널을 이용해 commit이나 pull이 가능했고, git이나 git lab에서 해당 레포지토리의 브랜치들을 merge할 수 있었다.그런데 Mendix는 진짜 정말 모르겠는 것이다... 미치고 팔짝 뛸 노릇.. 아래 화면에서 보는 것처럼 하나의 개발 브랜치 내에서 commit, push, pull은 아주 간편하고 좋았다. commit의 경우에도 별도의 창이 뜨면서 커밋 메세지를 작성할 수 있도록 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