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이분탐색
- 트리
- Recursion
- 집합
- SQL
- 자바
- 멘딕스
- 백트래킹
- algorithm
- 그래프
- 해시맵
- 정렬
- Sort
- lcap
- 가중치없는그래프
- 재귀
- dfs
- 완전탐색
- 매개변수 탐색
- Mendix
- 알고리즘
- git
- MySQL
- 반효경교수님
- 스택
- domain model
- 프로그래머스
- microflow
- Bruteforce
- 자료구조
- Today
- Total
목록entity (3)
mondegreen
엔티티란엔티티를 생성할 때 개발자가 정의하는 속성이 있다. 일반적으로 직접 모델을 설계하고 DB 스키마를 작업하며 key값이 되는 id field를 생성하기 마련인데, 멘딕스에는 별도로 생성하지 않고 있다. 이는 멘딕스가 개발자가 정의한 속성에서 System 속성(생성, 변경, owner, 변경주체)과 개체 식별자 속성을 자동으로 부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가 단 한 개의 속성만 생성했다 할지라도 아래와 같이 다양한 필드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단, System 속성의 경우, 선택 여부에 따라 부여된다.엔티티의 종류영속성 엔티티(파란색), 비영속성 엔티티(주황색), 외부 엔티티(보라색) 이 존재한다. 비영속성 엔티티는 런타임 메모리에 저장되며 데이터베이스에 커밋되지 않는다. 다른 애플리케이션의 데이..
도메인 모델에서 엔티티를 작성하는 과정 중 속성에서 value를 선택하는 부분이 있다. calculated 또는 stored 중에 선택해야 하는데 보통은 stored로 선택해서 저장하곤 했다.둘의 차이가 무엇일까?먼저 쉽게 직관적으로 이해되는 stored부터 생각해보자. 이 설정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것이다. 반대로 calculated는 클라리언트나 마이크로플로우에 의해 보여질 때마다 계산되는 값이다. 상대적으로 발생 빈도가 높은 경우이다.이렇게 말해도 사실 바로 와닿지는 않는데, 멘딕스에서는 둘 중 선택할 때 기준을 "보는 횟수 VS 변경되는 횟수"를 고려하라고 말한다. 예를 들어 환율을 생각해보면 시시각각 변경되지만 매초마다 사용자나 마이크로플로우에 의해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환율의 경우에는 ..
1. @Entity 2. @Getter (@Setter는 사용하지 않는 것을 권고) 3. 엔티티간 관계 설정 @ManytoOne => 연관관계의 주인이 되며 DB에서 FK, @JoinColumn(name="외래키 컬럼")와 함께 쓰임 이쪽에 데이터 변경이 이루어져야 다른 쪽에도 변경이 적용됨. @OnetoMany => 연관관계의 주인이 되지 못함, (mappedBy="many에 있는 주인인 인스턴스") @OnetoOne => 주인이되되는 엔티티는 access가 빈번한 곳으로 위와 같은 규칙으로 작성 4. 상속 관계인 경우 Inheritance(strategy=InheritanceType.구현방식) 구현방식1: 단일 테이블 = Discrmination Column과 Discrimination Value 적..